반응형 개인적인 존재4 철학...? 그런거 정말 몰라도 될까?(상) 박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어릴 때 박사라면 그야말로 ‘모르는 게 없는 사람’으로 알고 있었다. 박사제도가 언제부터 생겼는지 모르지만 텔레비전에 이름 다음에 박사가 붙으면 그만큼 권위가 있는 사람으로 보인다. 실제로 박사란 ‘학문을 가장 깊이 있게 알고 연구하는 전문가’를 일컫는 호칭이다. 박사를 영어로 ‘Ph. D’로 표기한다. ‘Doctor of Philosophy’의 준말이다. 그런데 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아도 ‘Ph. D’, 공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아도 ‘Ph. D’다. 박사제도가 생길 때 철학자에게 수여했던 게 시초가 됐는지 모르지만 모든 박사는 모두 ‘Ph. D’로 표기한다. 그런데 이름대로 Philosophy에 대해 잘 알고 있기나 할까? 택시를 타고 회의에 참석했다가 볼일이 있어 먼저.. 2015. 9. 23. 교육은 학교에서만 하는 게 아니다 사람이 태어나서 아무것도 가르치지 않고 혼자서 자라면 어떤 모습이 될까? 당연히 사람 짓을 할 수 없는 망나니가 되고 말 것이다. 한 인격체가 제대로 된 인간으로 성장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사람은 사람으로서 해야 할 일과 해서는 안 되는 일을 배우지 않으면 사람 구실을 하지 못한다. 그걸 사회학에서는 ‘사회화’라고 한다. 인간으로서 사회화하면 인간이 되고 동물로서 사회화하면 동물이 되는 것이다. 학교가 무너졌다고 야단이다. 교육학을 했다는 학자님들, 평생을 교육을 한다는 교육자들, 교육정책을 입안하는 교육 관료들... 무너진 교육을 살리겠다고 온갖 이론을 개발하고 도입하고, 시범학교, 연구학교를 만들고 법석을 떠는 연구자들... 그 많은 전문가들이 엄청난 예산과 인력을 투입해 공들이는 교육, 그런 학.. 2011. 6. 27. 사회적인 인간을 개인적 존재로 키우는 교육 사람을 늑대가 키우면 사람행세를 할까? 늑대행세를 할까? 이러한 의문은 프랑스에서 사냥꾼이 발견한 ‘아베뇽의 야생소년’ Victor에게서 확인된바 있다. 몸은 사람인데 사람의 행동을 하지 못하는 사람. 그는 사회적인 존재로서의 사회화하지 못했기 때문에 인간으로서 해야 할 행동을 하지 못하는 것이다. 만약 Victor라는 소년이 인간이 길렀다면 동물의 모습이 아닌 인간의 행동을 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인간의 행동이란 무엇일까? Victor는 나름대로 개인적인 존재로서는 살아가는 방식을 터득하고 있었다. 인간도 다른 동물과 마찬가지로 환경에 적응하는 방식을 배운다. Victo도 배가 고프거나 잠이 오면 본능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스스로 체득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인간으로서 인간사회에 적응할 수 .. 2011. 3. 10. 학교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이야기(1) 학교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이야기 1. 개인적인 존재로서의 나와 사회적 존재로서의 나 - 학교에 재직하고 있을 때 수업 시작하기 전 잠도 깨울 겸 가끔 엉뚱한 질문을 하곤 했다. “이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게 뭘까?” 이 질문에 가장 먼저 나오는 대답이 “돈”, “권력”, “지위”, “명예”, “보석”.....등등이다. ‘귀하다, 소중하다’는 것을 ‘물질적인 것’에서 찾는 답이다. 어쩌다 “자기 자신” 혹은 “나”라고 대답하는 학생도 간혹 있다. 이야기를 정리하면서 “그런 것들이 아무리 많아도 내가 없으면 소용없지 않은가?”라고 하면 아무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다. 소중하고 귀하다면 더욱 가꾸고 다듬어야 한다. 그런데 나는 ‘나를 위해서 나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배가 고프면 먹고 잠이 오면 자고..... 2009. 8. 21. 이전 1 다음 반응형